B2B 표준 결제시스템을 놓고 서로 주관 업무임을 주장하며 갈등하던 산업자원부와 한국은행이 의견 조율을 끝내고 적극 협력하기로 한 것이다.
이렇게 자칫하면 영영 표류할 뻔 했던 B2B표준 결제시스템 수립 문제가 순조롭게 해결되면서 각 은행 B2B전략 추진에도 탄력이 붙게 됐다.
한편 2002년까지 어음을 폐지하려는 정부의 의지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기업간 거래 결제가 상당 부분 어음으로 이루어 지고 있어 B2B 표준 결제시스템 마련 과정에서 ‘전자어음’이 쟁점으로 부각될 전망이다.
6일 금융권에 따르면 한은이 B2B전자상거래 표준 결제시스템 마련의 주관 기관으로 정해졌다. 산자부는 그동안 연구 분석한 자료와 추진 방안을 제공하는 등 한은 중심 프로젝트에 적극 협력하기로 했다.
금결원은 간사 역할을 하게 되며 참여 금융기관도 평화은행을 제외한 서울 소재 14개 은행으로 대폭 확대됐다. 지방은행은 내년, 시스템 구현단계부터 참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재경부는 예정대로 초안이 마련되면 제도 및 법률 정비를 지원하게 된다.
한은은 지난 1일, 회의를 열고 산자부 은행 금결원이 참여하는 워킹그룹을 구성했으며 구성원들은 되도록 빠른 시간내에 결제시스템을 마련하기로 의견을 모았다. 워킹그룹은 앞으로 일주일에 한번씩 만나 구체적인 실행방안에 대해 협의하고 전자금융거래에 관한 법적 규명 작업을 벌일 예정이다. 실행방안을 만드는데는 산자부가 금융기관 및 기업이 마켓플레이스와 구상한 초안이 활용된다.
내년초까지 이 작업을 마무리하는 대로 금결원과 은행들이 시스템을 개발하면 시범 서비스를 거쳐 늦어도 내년말에는 상용 서비스를 실시할 계획이다.
한편 금융권 관계자들은 오프라인상에서의 결제 관행을 온라인상에 구현하면서 발생할 문제를 법적으로 정비하는 문제와 함께 어음을 보완할 수 있는 기업간 결제 시스템 마련이 B2B 표준 결제시스템의 가장 큰 과제가 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한 은행 관계자는 “ ‘전자상거래 활성화’와 ‘투명한 통화흐름’이라는 두마리 토끼를 잡을 수 있는 결제시스템 마련이 결코 쉽지는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미선 기자 una@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