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뱅킹 이용자수가 130만명을 넘어서고 있는 상황에서 인증기관들이 보험 가입을 미루다가 대형 금융 사고라도 터지면 고객의 손해를 제대로 보상하지 못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특히, 금융결제원의 경우, 조흥은행 등 시중은행에서 공인인증 서비스를 이용하기 시작해 하루빨리 고객을 위한 안전장치를 마련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13일 보험 및 관련업계에 따르면 현재 전자인증 보험 가입을 추진하고 있는 곳은 증권전산 한국정보인증 금결원 등이다.
증권전산이 지난해 11월 LG화재, 정보인증이 올해 5월 현대 제일화재, 금결원은 올해 7월 삼성화재를 주간사로 선정해 요율 산정 작업을 진행중이다.
주간사가 결정된지 오래지만 보험에 가입한 인증기관은 하나도 없다. 인증 기관들이 요율 산정에 필요한 매출액 자료조차 보험사에 주지 않아 상품을 만드는 작업이 늦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일정대로라면 올해 1월에는 보험에 가입했어야 할 증권전산의 경우 제대로 된 매출액 자료가 없어 아직도 요율 산정 작업을 하고 있다.
정보인증과 금결원 역시 약관 작성만 끝낸채 요율 산정 작업에 매달려 있다.
공인인증 기관들의 전자인증 보험 가입이 늦어지는 것은 인증 기관들이 전자거래 관련 사고 위험을 제대로 인식하지 못하는데다 아직 인증 사업이 활성화되지 않아 매출액이 미미하기 때문이다.
인증기관들은 현재 매출액이 연 수억원에 불과한데다 확률적으로 대형 사고의 위험이 그리 높지 않아 비싼 보험료를 물어가면서까지 보험에 가입할 필요를 느끼지 못하고 있다.
업계 관계자들은 가까운 시일내에 인증서와 관련해 20~30억원 규모의 대형 사고가 발생할 확률은 별로 없지만 미래의 가능성을 따져보면 필히 보험에 가입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 보험업계 관계자는 “대형 사고가 한번 터지면 한달안에 요율 산정 작업과 보험 가입이 완료될 것”이라며 인증기관들의 안전불감증을 꼬집기도 했다.
김미선 기자 una@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