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병엽 정보통신부 장관은 8일 기자간담회에서 "정부가 서비스시기를 못박음으로써 사업자들이 소비자 확보에 실패할 경우 정부가 이에 대한 책임지게 되는 상황은 바람직하지 않다"며 이같이 밝혔다.
안 장관은 특히 "사업허가서 교부때 허가조건에 서비스 시기를 명시하지 않을 것"이라며 "사업자들이 사업계획서상의 서비스시기를 시장상황, 기술동향 등 주변여건 변화에 따라 변경을 요청해올 경우 자율적으로 선택할 수 있도록 탄력적으로 조정해줄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안 장관의 이같은 언급은 최근 확산되고 있는 IMT-2000 서비스연기론을 뒷받침하는 것이어서 주목된다.
그는 또 동기식 IMT-2000사업자 선정과 관련 "최근 여러가지 변화에 따라 당초 2월말 선정키로 했던 동기식 IMT-2000사업자는 2월말까지 사업허가신청을 받아 보름정도 늦어진 오는 3월중순께 선정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안 장관은 "최근 퀄컴을 포함해 국내외 업체들이 (동기식 IMT-2000사업자 선정과 관련해) 정부에 문의를 해오고 있다"면서 "정부의 사업자 선정절차가 발표되면 사업자들의 움직임이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안 장관은 "퀄컴도 국내 업체와 함께 참여할 수 있지만 복수의 업체가 사업허가를 신청할 지는 두고 봐야 할 것"이라며 "동기식 사업자에 대한 인센티브중 출연금 삭감은 고려치 않고 있으며 번호배정 등 다양한 복안을 강구중"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동기식 사업자 선정으로 국내 동기식 산업기반이 유지될 것이냐는 질문에 대해서는 "정부가 의지를 갖고 추진하면 동기식 산업을 육성, 발전시킬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김미선 기자 una@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