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직금 누진제 폐지는 정부가 개혁 작업의 일환으로 강력하게 추진하고 있어 은행 입장에서도 수용이 불가피할 것으로 예상된다. 개인별 성과급 및 계약직 연봉제 도입을 통해 탄력적인 고용 제도를 만들어 보려는 은행들의 의지도 만만치 않다.
퇴직금 누진제 폐지 압력을 가장 강하게 받고 있는 산업 기업등 국책은행들은 아직까지도 노사간에 뚜렷한 진전이 없지만 정부의 압력을 이겨내지는 못할 것이라는 전망이다. 은행 노조들은 퇴직금 누진제 폐지를 위해서는 그에 상응하는 임금 인상 등이 필요하다는 입장이지만 예산 부담 및 여론의 눈치를 보고 있는 은행 사용자측도 어렵기는 마찬가지다.
퇴직금 누진제 폐지는 퇴직금 충당금 부담을 줄여 경영수지를 개선하려는 은행측의 입장과도 맞물려 있어 결국은 관철될 것이라는 전망이다.
기본급 차등화 및 개인 성과급 도입도 은행원들 입장에서는 부담스럽게 하기는 마찬가지. 설마 자기가 경쟁에서 뒤쳐져 임금을 덜 받겠냐는 생각을 하고 있는 직원들도 많지만 경쟁이 치열해지고 고용 불안이 더욱 가중될 것이라는 점에는 대부분 동의하고 있다.
주택은행의 경우 내년부터 핵심성과지표제도(KPI)를 시행할 예정이지만 아직까지도 노사간 합의를 이뤄내지 못하고 있다. 주택은행의 경우 외부 전문인력 채용을 계속 늘려와 기존 직원들의 승진에 대한 불안감이 고조되고 있다.
제일은행도 노조와 몇 달째 협의를 계속하고 있지만 성과는 없는 상태. 연봉제 및 개인성과급 시행을 통한 임금 격차를 최대한 줄이겠다고 은행측은 노조를 회유하고 있지만 노조는 들은 척도 않고 있다. 제일은행 경영진이 제도 도입을 통한 경쟁유발로 4500명이라는 과다한 직원수를 자연스럽게 줄여나가겠다는 복안을 갖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노조는 절대 물러설 수 없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한편 정부가 기업의 복지제도를 카페테리아식으로 전환하도록 요구하고 있어 복지혜택도 대폭 줄어들 전망이다. 기존에는 저리의 주택자금대출 학자금 등 필요할 경우 자격요건만 맞으면 대부분의 복지혜택을 누릴 수 있었지만 이제는 일정 한도 금액만큼만 선택해서 사용해야 한다는 게 정부의 입장이다.
한 은행원은 “퇴직금 누진제 폐지 및 기본급 차등화, 개인성과급 제도 도입에 따라 직원들이 수시로 자리를 옮기는 문화가 형성될 것”이라며 “우수 인력으로 인정받지 못하면 낙오되고 결국은 은행을 떠나야 하기 때문에 사용자 입장에서는 앞으로 명예퇴직 실시에 따른 번거러운 절차도 필요 없게 됐다”고 말했다.
송훈정 기자 hjsong@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