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위원장은 이날 인천상공회의소 초청 조찬강연에서 “감독당국으로서 기준과 절차의 투명성을 더욱 높여 관치금융의 오해를 불식시키는 노력에 박차를 가할 것”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정부의 주식 매각이후 은행 주가가 상승하면 공적자금의 회수에 최선을 다하지 못했다는 책임 문제가 대두될 수도 있겠지만 정부는 이에 개의치 않고 은행은 민영화돼야 한다는 큰 목표를 추구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민영화 이후에 은행의 주가가 상승한다면 그것은 정책의 성공이라고 봐야 한다고 이 위원장은 말했다.
그는 또 정부가 금리에 개입한다는 지적이 있지만 금리는 분명히 자유화돼있다며 그러나 금감위는 금융기관의 건전성을 점검해야 하는 의무가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은행장 선임도 투명하고 공정하게 이뤄지고 있으며 원하는 대로 되지 않았다고 해서 무턱대고 관치금융이라고 비난하는 과거의 행태도 변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위원장은 또 디지털시대로의 이행은 우리가 거부한다 해도 상관없이 진행될 것이며 뒤쳐지면 낙오할 뿐이라며 우리 은행들이 행동에 나서지 않는다면 고객들이 외국은행으로 옮겨가 정부가 다시 공적자금을 투입해야만 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도 있다고 경고했다.
관리자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