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자료=LH.
1, 2순위에 해당하는 수급자 가정 또는 전년도 도시근로자월평균소득 50% 이하 가정 등의 대학생과 취업준비생은 시세의 30% 수준으로 임대료가 책정되며, 3순위에 해당하는 전년도 도시근로자월평균소득 100% 이하 가정의 대학생 등은 시세의 50% 수준으로 임대료가 책정된다. 모집 인원은 수도권 2517명, 부산경남 423명, 대전충청 284명, 대구경북 195명, 강원 100명, 전라 42명이다. 입주예비자에게는 모집 지역의 주택이 공급된다.
대학생과 취업준비생이 모집 대상이며, 모집 공고일인 30일 현재 무주택자로서 대학생은 사업대상지역 내 재학 중인 대학생으로 대학 소재지 이외의 타 시‧군 출신 대학생이어야 한다. 취업준비생은 대학 또는 고등(기술)학교를 졸업(또는 중퇴) 후 2년 이내이고 타 시‧군 출신 취업준비생(직장에 재직 중이 아닌 자)이다.
임대료는 지역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으나, 주변 시세의 30〜50% 수준으로 책정되어 저소득 대학생 및 취업준비생의 주거비 부담을 크게 덜어 줄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임대보증금으로 1, 2순위는 100만원, 3순위는 200만원으로 최소 금액을 책정해 청년층의 목돈 마련 걱정을 줄였다. 2년 단위로 임대차 계약을 체결하며, 입주자격을 충족하는 경우에는 2회 재계약이 가능해 최장 6년간 안정적으로 거주할 수 있다.
LH 관계자는 “청년매입임대주택은 시세의 30% 수준의 저렴한 임대료로 최고 6년간 안정적으로 거주할 수 있어 대학생 및 취업준비생의 주거비 부담을 덜어줄 것으로 기대한다”며 “앞으로도 저소득, 신혼부부, 어르신주택 등 생애단계별 맞춤형 공적임대 주택을 지속적으로 공급하여 사회통합형 주거사다리 마련에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서효문 기자 shm@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