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러한 당기순이익은 전년 대비 19.1% (2,021억원) 증가한 수준으로 2013년 이후 최고의 연간 실적이다. 명예퇴직 비용 1780억원을 감안하면 실제 상승세는 더 높다고 볼 수 있다.
이번 실적의 바탕에는 적정수준 (3.3%)의 대출성장을 통해 이자이익이 증가 (5.4%)하는 등 안정적인 수익성을 바탕으로 자산 건전성을 지속적으로 개선한 결과로 보인다. 리스크 관리를 통해 대손비용도 전년 대비 13.7% (1325억원) 감소하였다.
2016년말 고정이하여신비율은 0.91%(조선 3사 (SPP조선, 대선조선, STX조선) 제외 시 비율), 연체율은 0.46%로 전년말 대비 각각 0.33%p, 0.36%p 개선되며 꾸준한 하향 안정세를 보였다.
또한, 대손충당금 적립비율도 165.0%로 전년말 대비 큰 폭 (43.5%p)으로 상승하여, 향후 예상 밖에 발생할 수 있는 Credit Event 에도 대비할 수 있는 손실흡수 능력을 충분히 확보했다.
우리은행 관계자는 “민영화 원년인 올해에는 은행장 연임 등 경영 안정성을 바탕으로 지속적인 실적개선과 더불어, 사업포트폴리오 재구축 등 新성장동력 추진을 통해 기업가치를 높일 것”이라고 하며, “과점주주 체제가 본격화되는 2017년부터는 주주친화적 배당정책도 적극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한편, 우리은행 개별기준*으로 산출한 2016년도 당기순이익은 1조 1350억원이며, 계열사별로는 우리카드 1094억원, 우리종합금융 239억원 등의 당기순이익을 실현하였다. * 카드, 종금 등 자회사 실적을 제외하고 해외현지법인 등 실적을 포함한 시중은행간 비교 목적 기준
신윤철 기자 raindream@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