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한국은행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는 이날 서울 플라자호텔에서 한국은행과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 피터슨연구소(PIIE)가 공동으로 개최한 '소규모 개방경제의 통화정책 운영' 국제콘퍼런스에서 이같이 밝혔다.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는 “저성장 기조가 고착화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통화정책의 완화기조를 유지해야 하겠지만 이로 인해 금융 안정이 저해되는 일이 없도록 해야 할 것”이라며 “특히 소규모 개방경제 국가의 경우 금융 완화의 정도가 과도할 경우 대외 충격 발생 시 자본유출과 통화가치 절하가 급격히 진행될 위험이 상대적으로 크다는 점에 유념하여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대외 리스크에 대한 대응능력도 강조됐다.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는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많은 국가들은 외환건전성정책 강화, 환율제도의 유연성 제고, 외환보유액 확충 등 다양한 방법을 통해 대외 리스크에 대한 대응능력을 높여 왔다“며 ”국제적 차원에서도 바젤Ⅲ를 도입하고 시스템적으로 중요한 금융기관(G-SIFI)에 대한 규제를 강화하는 등 외부충격에 대한 금융기관의 복원력 제고와 금융시스템의 충격흡수능력 개선을 위해 노력해 왔다“고 평가하며 이번 컨퍼런스에서 성과를 공유하길 바란다는 뜻을 밝혔다.
금융안전망 확충을 위한 국제공조 노력도 언급했다.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는 “그동안 국제통화기금(IMF) 신차입협정 타결, 주요국 간 미달러화 통화스왑 체결, 치앙마이 이니셔티브 다자화(CMIM) 재원 확대 등을 통해 글로벌 및 역내 금융안전망이 꾸준히 확충되어 왔다”며 “앞으로도 유로안정화기구, CMIM 등 역내 금융안전망과 IMF 간의 협력 증진, 국가 간 통화스왑 확대 등 글로벌 금융안전망 강화를 위한 국제적 협력을 지속해 나가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특히 구조개혁의 중요성도 강조했다.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는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 이후에도 여러 차례 보았듯 경제체질이 탄탄한 국가의 경제는 대외충격이 발생하더라도 그 충격에서 벗어나는 속도가 빨랐다”며 “구조개혁이 단기적으로는 어려움을 수반하지만 중장기적으로는 자원배분의 효율성을 제고하여 고용과 경제성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많은 연구결과가 있고, 구조개혁을 통해 경제의 복원력을 강화한다면 거시경제정책 완화의 정도를 과도하지 않게 할 수 있게 되어 완화정책에 따르는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도 있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이어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는 “각국 경제가 지금처럼 다면적 어려움에 처해 있는 상황에서는통화정책만으로 해결하는 것은 한계가 있다”며 “거시건전성 정책, 구조개혁 정책 등과의 효율적인 정책조합과 국제공조가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한편, 이날 콘퍼런스에는 토머스 조던 스위스 중앙은행 총재를 비롯 이스라엘·네팔·수리남·카타르까지 5개국 중앙은행 총재가 참석했고, 애덤 포센 PIIE 소장, 올리버 블랜차드 MIT대 교수 등이 참석했다.
정선은 기자 bravebambi@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