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일 업계에 따르면 여전사 및 부동산신탁사를 자회사로 두고 있는 금융공기업들이 최근 캐피탈사가 높은 가격에 매각되는 등 캐피탈사들이 M&A 시장에서 좋은 매물로 떠오르자 자회사 매각을 추진하고 있다.
A캐피탈 업계 한 관계자는 “정부 정책에 따라 금융공기업이 경영혁신의 하나로 자회사의 민영화를 준비하고 있는 상황이었는데 때마침 캐피탈사 매각 프리미엄이 붙어 여전업 및 부동산신탁업 관련 자회사를 정리하려고 하는 것 같다”고 말했다.
자회사의 매각을 준비하고 있는 곳은 기술보증기금의 자회사 기보캐피탈, 한국토지공사의 자회사 한국토지신탁, 기업은행의 자회사 기은캐피탈 등이다.
기술보증기금은 최근 여신전문금융 자회사인 기보캐피탈을 매각하기로 결정했다.
기보캐피탈은 신기술사업금융사로서 여신전문금융업을 영위할 수 있기 때문에 주력사업인 벤처기업에 대한 투자 및 융자 뿐만 아니라 리스, 팩토링, M&A투자 등 다양한 업무 등을 집행할 수 있다. 따라서 금융기관들이 캐피탈 업종에 뛰어들기에 좋은 조건을 지니고 있다.
기보캐피탈은 지속적인 경영개선으로 올 상반기 현재 총자산 633억원, 매출 68억원, 당기순이익 22억원을 기록했다. 기보캐피탈이 상장될 경우 공모가가 1주당 8000원 이상 형성될 것으로 평가돼 매각 비용은 경영권 프리미엄을 붙여 1000억원이 훌쩍 넘을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B캐피탈 업계 관계자는 “기술보증기금은 한창 성장세를 타고 있는 기보캐피탈을 민간 사모펀드 등에 매각한다고 결정하고 매각 주간사 선정작업에 들어갔다”고 말했다. 한국토지공사도 자회사인 한국토지신탁의 매각을 추진하고 있다.
지난달 아이스텀앤트러스트는 한국토지신탁의 제3자 배정 유상증자에 참여해 신주 5844만3330주를 배정받고 한국토지신탁의 주식 1억주 가운데 7000만주 전부 또는 일부를 1년 6개월이 경과한 날로부터 2년6개월간 매수할 수 있는 권리를 부여하는 주주간약정서를 체결했다.
한국토지신탁은 올해 매출액 1296억원, 영업이익 256억원, 당기순이익 195억원을 달성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토지공사 관계자는 “이번 매각관련해서는 정부의 공기업 자회사 민영화 방침에 따른 것으로 과거 매각을 추진하다 시장 상황이 안 좋아 깨진 적이 있었지만 지금은 장이 좋아 최적의 조건으로 매각을 진행할 수 있도록 추진하고 있다”고 말했다.
반면, 모회사가 민영화를 준비하고 있는 기업은행의 경우 자회사인 기은캐피탈을 정부 방침에 따라 상장 시켜도 떼어내려 하지 않을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기은캐피탈은 올해 초 정부 방침대로 기업은행의 지분을 줄이고 수익성을 높인다는 방침으로 내년 1월 상장을 준비해왔다. 현재 일부 계획이 연기돼 내년 3월에 상장을 계획하고 있다.
업계 한 전문가는 “정부의 방침이 있지만 기업은행 자체가 민영화를 추진하고 있는 상황에서 우량한 계열사를 확보하려 하기 때문에 상장은 시키더라도 기은캐피탈의 지분은 매각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고재인 기자 kji@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