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시활성화를 위해 정부가 주도하고 투신·은행·증권업계가 공동 참여하는 금융계 최초 공동 ELS펀드인 코리아ELF(KELF)의 판매실적이 크게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3일 금융업계에 따르면 은행과 증권사들의 KELF 판매실적은 100억원 안팎에 불과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
이는 당초 정부가 예상했던 2∼3조원에 비해 1%도 안되는 수치다.
은행권에서는 대략 52억원 가량 팔린 것으로 알려졌다. 8개 시중은행의 경우 국민은행 22억원, 신한은행 12억9700만원, 우리은행 6억5000만원, 조흥은행 6억3000만원 등에 불과했다. 이밖에 제일은행은 1700만원, 한미은행은 4700만원어치를 판매하는 데 그쳤다.
증권업계도 사정은 마찬가지다. 총 판매액은 51억원이었지만 규모가 작아 설정을 포기한 금액이 12억7000만원이어서 38억3000만원으로 최종 집계됐다. KELF 설계업체인 미래에셋과 한투증권이 그나마 선전했을 뿐 삼성ㆍ대우증권 등 대형증권사들조차 5∼6억원에 불과했다.
은행연합회와 증권업협회가 그동안 긴급 KELF 담당 임원들을 소집해 판매를 위한 비상회의를 갖는 등 대책 마련에 나섰지만 투자자들의 반응은 냉담했다.
이 같은 판매부진은 기존 상품보다 원금 보장기능이 떨어져 고객들이 외면했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이와 함께 최근 LG카드 사태와 특검법안 거부권 사태로 인한 정치적 불안까지 겹치면서 시장에 불확실성이 증폭되는 바람에 투자자들이 매입을 꺼리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부동 자금의 증시 유입 대책이 졸속으로 추진된 것도 이 같은 판매부진을 초래한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한편 증시자금유입을 위해 정부가 후원하고 전 금융권이 의욕적으로 나섰던 KELF가 설정도 못된 채 상당 규모가 무산됐다.
펀드판매가 부진해 투신운용사에서는 펀드 설정 자체가 어려워 가입자들이 맡긴 돈을 되돌려줘야 한다. 펀드 구성을 위해서는 성장형의 경우 최저 30억원이 넘어야하고 안정형은 50억원 이상이 돼야 하는데 미래에셋을 제외한 대부분의 금융사들이 여기에 턱없이 미달된 상태다.
또 이처럼 투신사들이 적은 자금 규모로 인해 설정을 포기할 수밖에 없는 이유는 단지 운용보수 차원에서 실익이 없어서가 아니라 최소 설정규모에 미달할 경우 주식 복제를 위한 인덱스 바스켓 구성이 어렵게 되고 이로 인해 고객에게 판매시 약속했던 수익률을 보장해 줄 수 없기 때문이다.
김재호 기자 kjh@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