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일 금융계에 따르면 국민은행이 지난해말부터 해외발행을 검토했던 하이브리드채권 발행이 북핵문제 등 해외시장 악화로 국내 발행쪽으로 선회했으나 아직 발행과 관련된 세부세칙 및 일정이 마련되지 않아 발행이 미뤄지고 있다.
이에 따라 국민은행이 올해 상반기내 정부지분의 매입을 통해 경영 자율성을 꾀한다는 계획에 차질이 빚어지게 됐다.
그러나 국민은행측은 성급하게 해외발행을 재추진하기 보다는 금감원의 국내발행안이 확정되는 대로 해외 및 국내 IR 등을 통해 기관투자자들을 대상으로 8∼10억달러를 발행할 방침이다.
재무기획팀 한 관계자는 “지난 1월말보다 국고채금리가 하향 안정세에 접어들고 있어 국내에서 발행할 경우 5∼6%대의 낮은 금리로 조달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며 “금감원이 관련 세칙을 마련하는 동시에 발행 추진을 위한 준비를 하고 있다”고 말했다.
IR팀 관계자는 또 “하이브리드채권 발행으로 정부지분을 매입할 경우 정부의 간섭으로부터 어느정도 자유로워지는 만큼 외국 투자기관들로부터 긍정적인 효과를 얻어낼 수 있을 것”이라며 “빠른 시일내 발행이 이뤄지길 바란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금감원 관계자는 “현행 규정상 국내에서도 하이브리드채권 발행이 불가능한 것은 아니지만 조세비용 절감 및 기본자본으로의 편입 가능성 등 이 채권의 특수한 성격 때문에 국내에서 발행할 경우 어떠한 효과를 낼 수 있는지 검토, 세부 지침을 마련하고 있는 단계”라며 “선진국 발행 및 국제금융시장 등 여러가지 사례를 종합적으로 연구해 기본적인 요건을 마련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그러나 발행과 관련된 세부 일정은 밝힐 수 없다”고 덧붙였다.
한편 국민은행은 지난 1월말 금융감독원이 그동안 해외발행만 허용됐던 하이브리드채권을 국내에서도 발행가능하다는 입장을 밝혀 조달금리 등을 낮추기 위해 국내 발행을 추진해 왔다.
김영수 기자 kys@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