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일 금융 및 관련업계에 따르면 광주광역시, 광주은행, 광주지역 버스조합이 추진하는 전자화폐 사업이 지지부진하다.
이들 세 기관은 지난해 12월, 전자화폐 사업에 관한 MOU를 체결했으며 금융결제원, 마이비, 비자캐시로부터 제안서를 접수하고 사업자 선정 작업을 진행해 왔다. 얼마전에는 금결원의 K-캐시를 지역 전자화폐로 잠정 결정했다. 그러나 마이비가 이와 같은 결정에 대해 광주시청에 이의를 제기하면서 전자화폐 선정 작업이 혼란에 빠졌다.
마이비는 K-캐시가 광주광역시 전자화폐로 잠정 결정됐다는 소식이 알려지자 광주시청에 K-캐시가 광주광역시 전자화폐로 적합하지 않다는 내용의 문건을 제출했다.
이 문건은 ‘K-캐시가 사용하는 칩은 전국 호환 기능이 없다’는 등 기술적인 근거를 중심으로 작성된 것으로 알려졌다. 광주시청은 금결원측에 이 문건에 대한 해명자료를 요구했다.
이에 금결원은 광주시청에 해명자료를 제출함과 동시에 마이비가 제시한 문건이 허위 사실 유포 등 불법행위에 해당하는지에 관해 법률적 자문을 구했다.
금결원 자문 변호사는 최근, 마이비의 행위에 민형사상 책임을 물을 수 있다는 답변을 내놓은 것으로 알려졌다.
광주은행과 버스조합과의 갈등도 문제다. 당초 광주지역 버스조합은 지역내에 가장 많은 지점을 보유하고 있는 광주은행을 전자화폐 발급기관으로 지정했다.
하지만 전문계 카드사들이 후불식 교통카드 사업권을 따내기 위해 무리한 마케팅을 벌이면서 광주은행과 버스조합간의 관계에 금이 가고 있다.
전문계 카드사들은 버스조합에 카드 리더기 등 시스템 인프라를 무료로 구축해 주겠다며 물량 공세를 펼쳐 광주은행을 당혹스럽게 만들고 있다.
광주은행 관계자는 “예정대로라면 사업 계획이 수립 완료돼야 하는 시점이지만 여러가지 이유로 일정이 미뤄지고 있다”고 말했다.
김미선 기자 una@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