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와 함께 내년 민영화와 사업 전문화를 대비해 조직 체계도 크게 단순화될 전망이다.
자산관리공사는 사장 직속으로 설치된 ‘중장기발전기획단’을 통해 이와 같은 전략을 수립하고 6월부터는 본격적인 실무작업에 착수한다는 계획이다.
28일 금융계에 따르면 자산관리공사가 하반기중 대대적인 조직 개편과 인력 감축 작업에 착수한다.
자산관리공사는 IMF 이후 급격히 증가한 부실채권을 정리하기 위해 기금 조성을 통한 채권 정리 업무를 크게 확대했다. 하지만 지난해를 기점으로 국내 금융기관이 보유한 부실채권이 상당 부분 정리됐다. 더욱이 자산관리공사는 공사법상 올 연말까지만 기금을 통한 부실채권 인수를 할 수 있어서 조직과 인력 정비가 불가피한 상황이다. 그리고 중장기적으로 민영화를 위한 제반 인프라구축 작업을 하반기 중에 착수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이와 관련 자산관리공사는 지난해까지 기획조정실 내에 속해 있던 중장기발전기획팀을 연원영 사장의 취임 이후 기획단으로 승격시키고 본격적인 업무에 착수했다. 기획단은 늦어도 5월말까지 계획안을 수립하고 하반기부터는 구체적인 작업에 착수한다.
특히 이번 중장기 계획의 핵심은 인력의 대대적인 감축과 조직의 축소로 관측되고 있다. 이와 관련 연말까지 적어도 현재 인력의 20%에 해당하는 300여명의 직원이 감원된다.
그리고 조직 구성에 있어서는 기존 부실채권의 인수 및 정비부문과 관련한 부서의 대폭적인 축소가 예상된다. 반면 해외 사업부문의 확대가 전망된다. 특히 동남아시아, 중국 지역의 부실채권 시장을 확대하기 위해 조직이 강화되고 공사 고유의 부동산 관련 업무도 특화될 전망이다.
자산관리공사는 인력 감축과 관련 업무 부담 내지 직원들의 반감은 적을 것이라는 지적이다. 자산관리공사의 경우 대부분의 직원들이 1년 계약직으로, 계약이 연장되는 방식으로 장기채용이 이뤄졌는데 재계약으로 하지 않음으로써 자연스럽게 인력을 줄여간다는 것이다.
박준식 기자 impark@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