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대출의 급격한 증가와 이에 따른 대규모 부실발생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그리고 이것이 해당 금융기관은 물론 국내 경제 전체에 커다란 파장을 일으키는 사회적 문제로까지 부상할 것이라는 우울한 전망이 곳곳에서 제기되고 있다.
이에 대해 은행들은 연체 등 부실률은 선진국과 비교해도 높은 수준은 아니며 리스크를 감수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고 있어 기우에 불과하다는 중론이다.
14일 금융계에 따르면 천편일률적인 가계부문에 대한 은행들의 영업력 집중과 가계대출의 증가가 일순간에 국내 금융경제를 혼란으로 몰아넣는 결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지적이 강력하게 제기되고 있다.
금융산업의 발전 과정과 소비자의 금융행태 변화에 따라 가계대출의 증가는 필연적이라는 것은 금융계 상식. 하지만 국내 금융시장은 IMF 이후 극도로 허약해진 소비자의 경제력과 여전히 불안한 금융시스템은 부정의 시너지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와 관련 현재 국내 금융산업이 처한 문제는 가계대출의 양적 팽창이 아니라 이 과정에서 은행과 소비자가 리스크를 감수할 수 있는 여력이 극히 취약하다는 것이다.
금융계 전문가들은 개인 고객들의 경우 경제력이 극도로 저하된 상태에서 대출로 대출을 갚는 악순환이 계속되고 있다며 우려를 표명하고 있다. 한 은행 여신 관계자는 “대출의 목적이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거나 수익을 올리기 위해서가 아니라 기존의 대출을 상환하거나 기본적인 생존을 위한 것”이라며 “장기적으로 이를 상환할 가능성이 점차 낮아지고 있어 대책을 마련중”이라고 말했다.
한 민간 연구소가 작성한 보고서에서도 같은 결론을 도출했다. 삼성경제연구소가 작성한 보고서에 따르면 전반적으로 저소득층의 재무상태는 악화되고 고소득층은 개선돼 부의 편중이 심화되고 있다.
저소득층의 부채지수는 1년전에 비해 증가했지만 자산지수는 같은 기간 감소했다. 이에 따라 소득계층간 자산지수 격차가 확대됐다. 3분기 자산지수 격차는 15.3p로 2분기 14.2p보다 확대됐다.
무엇보다 연령이 낮을수록 신용대출 비중이 높아 부실 발생의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이다. 20대의 신용대출비중이 50세 이상(30.7%)의 두배가 넘는 72.7%였다.
잠시 주춤했던 실업률이 다시 높아지고 있으며 특히 ‘청년 실업’은 정부가 최우선 해결과제로 선정할 정도로 심각한 상황에서 저연령대의 신용대출은 언제 터질지 모르는 부실의 요인이라는 분석이다.
박준식 기자 impark@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