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근영 금융감독위원장은 6일 기자간담회에서 “서울은행 문제는 이미 제시한 우선순위에 따라 처리하되 우량은행간 합병이 마무리되지 않은 상태여서 지연될 수 밖에 없다”고 밝혔다.
정부는 서울은행 처리 우선순위, 즉 우량은행과의 합병, 컨소시엄등에 매각, 공적자금 투입은행과의 합병등의 순서대로 처리한다는 방침이다.
아직까지 서울은행과 합병하겠다고 적극 나서는 우량은행이 없어, 서울은행은 기업 컨소시엄 매각이 점쳐졌으나 은행법 개정안이 처리되지 않아 늦춰지고 있는 상황이다.
이 금감위장은 “합병이란 것은 둘보다 셋이 좋다”라는 말로 우량은행간의 합병조합사이에 서울은행을 끼워넣는 방안을 최우선시 한다는 입장을 표명했다.
결국 서울은행의 처리는 우량은행간의 합병이 마무리되는 시점에 가서야 향후 처리방향을 결정할 수 있게 됐지만, 당사자로 거론되고 있는 은행들이 합병문제를 떠나 서울은행 인수에 대해서는 다소 부정적인 입장을 보이고 있다.
이에 따라 실제 우량은행간의 합병이 성사되더라도 정부가 원하는 방향대로 서울은행 처리가 가능할지는 미지수인 상황이다.
우량은행간 합병진행에 대해 이 금감위장은 “성사시기는 알 수 없지만 합병의 필요성은 공감하고 있는 만큼 거의 모든 은행이 합병이나 제휴방안을 모색하고 있으며 깊이 추진되고 있는 곳도 있다”며 우량은행간의 합병이 아직 진행되고 있음을 시사했다.
박준식 기자 impark@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