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 중소기업의 경영난이 자칫 지방은행의 영업기반을 위축시킬 수 있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지방은행의 경우 지역에 소재한 중소기업에 대한 영업이 경영의 핵심 기반인데 이들 기업이 부도와 도산 등의 어려움에 처한다면 지방은행의 존립이 위협당할 수 있다는 우려다.
올해 지방 중소기업의 경영환경 전망은 금융기관별 그리고 업종에 따라 차이를 보이고 있지만 낙관적이지 않다는 중론으로 시장 회복시기도 하반기 이후로 보는 견해가 지배적이다. 특히 정부가 제시한 올해 중소기업 지원대책에는 지방 소재 중소기업에 대한 배려가 미흡하다는 지적이다.
7일 금융계에 따르면 지방 중소기업에 대한 정부차원의 구체적이고 강도 높은 대책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중소기업에 대한 금융지원 등 실무적인 대책은 주무 부서인 중소기업청과 해당 금융기관이 담당해야 할 사항이지만 정부 차원의 정책적 배려가 아쉽다는 게 관련 업계의 중론이다.
통계청이 발표한 ‘시·도별 지역내총생산 및 지출’에 따르면 수도권(서울, 인천, 경기)의 비중은 전년(46.3%)에 비해 0.9%p 증가한 47.2%를 나타냈다. 특히 전체 총생산 비중에서 7대도시가 차지하는 비중은 55.8%로 전년(56.5%)에 비해 0.7%p 감소한 반면 수도권의 비중은 51.6%로 전년(51.1%)에 비해 0.5%p 증가했다.
한국개발연구원이 분석한 결과도 지역간 경제력 격차가 확대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97년을 100으로 했을 때 지난해 경제회복 정도가 수도권은 153.9인 반면 지방은 71.4에 불과했다. 특히 지방 중에서도 광역시인 대도시 지역의 경제회복 정도는 63.7에 불과했다.
이와 관련 업계에서는 지역경제의 경쟁력 약화와 이에 따른 지방 소재 중소기업의 영업력 위축은 지방 은행의 생존을 위협한다는 우려를 표명하고 있다. 지방경제의 불황이 지속되고 이에 따라 기업체의 도산이 계속된다면 지방은행의 존립 근거가 사라진다는 주장이다.
대구, 경북지역의 경우를 실례로 들면 세계적인 섬유경기의 침체와 중국의 저가공세, 항공기 테러 사태 여파로 섬유업체 수가 최근 2년 사이에 30% 이상 감소했다.
또 지역업체가 보유하고 있는 직기의 17%가 전혀 가동을 하지 않는 등 지속적인 구조조정 노력에도 불구하고 대구섬유산업의 침체가 지속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물론 기업은행과 일부 지방은행의 경우 중소기업대출을 올해보다 크게 확대한다는 정책을 제시했지만 개별 은행의 금융지원만으로는 지역경제를 활성화시키고 기업의 영업력을 제고하기에는 턱없이 부족하다는 중론이다.
박준식 기자 impark@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