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협이 서울 노량진수산시장 인수와 관련 다시 한번 구설수에 올랐다. 수협은 공적자금투입 기관임에도 불구하고 무리하게 노량진수산시장을 인수하려 한다며 일부 언론과 국회의원들로부터 강한 질타을 받았었다.
결국 수협은 수의계약에 불참함으로써 인수를 포기했는데, 이젠 인수 포기가 수협의 자체적인 결정이 아닌 외부 압력에 의해 진행됐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문제는 노량진수산시장의 인수와 관련된 업무는 철저하게 수협중앙회의 차원에서 진행된 것으로 신용사업부와는 전혀 무관함에도 불구하고 신용사업부가 적지 않은 피해를 받고 있다는 것이다.
수협은 지난 7월 공적자금의 투입을 계기로 신용사업부와 경제사업부 사이에 독립법인에 가까울 정도로 완벽한 방화벽을 설치했고 실제로 대표 이사를 별도로 선임하는 등 독립 경영체제를 구축한 상태다.
하지만 일부 언론과 국회의원들은 이러한 수협의 특수한 상황을 이해하지 못하고 있어서 수협, 특히 신용사업부 관계자들을 안타깝게 하고 있는 것이다.
지난 14일 국감현장에서는 한나라당 의원들로부터 “공적자금을 투입받은 금융기관이 노량진수산시장을 인수하려 한다”며 질타를 받기도 했다.
한편 수협과 정치권과의 갈등은 어느 정도 해소됐지만 한번 실추된 은행 이미지를 다시 회복하는 것이 쉽지 않다는 것이 금융계의 중론이다.
수협이 예보로부터 총 1조1581억원의 공적자금 중 현재 1조1095억원이 투입받은 것은 사실이다.
하지만 이 과정에서 수협은 신용사업부를 수협 중앙회와 분리시켜 자회사 수준에 맞먹는 독립성을 유지하게 했고 공적자금 투입을 계기로 수익성 위주의 흑자경영 체제로 전환해 조기에 경영을 정상화 시키는 장기전략을 수립했다.
실제로 수협의 신용사업부는 반기결산 결과 100억원의 흑자를 기록했다. 비영리법인 성격으로 출발해 만성적인 적자에 시달리던 수협이 경영정상화를 이룩하는 신호탄이라는 평가다.
수협 전직원이 공자금 투입을 계기로 경영을 정상화하고 수산업 특화 금융기관으로 거듭나야 한다는 의지를 실천에 옮겼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번 사태 이후 수협에 대한 부정적인 이미지는 신용사업부의 금융업무에도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지적이다.
박준식 기자 impark@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