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에 따라 제일화재의 향배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금감위가 2단계 금융구조조정 계획을 밝힌 이후 경영개선요구 조치를 받음에 따라 증자가 불가피한 시점에서 터진 일이기 때문이다.
우선 내달 24일까지 경영정상화 계획서를 제출하는 일이 시급하다. 증자를 통해 지급여력비율을 맞춰야 한다. 적기시정조치를 받을 당시 제일화재의 지급여력비율은 69.8%였다.
금감원측은 후순위채 부분과 역외펀드의 손실부분 등을 감안하면 500억원 정도를 증자해야 할 것으로 보고 있다.
현재 제일화재는 국내 업체들을 증자에 참여시키기 위한 물밑협상을 진행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금감원이 추정하고 있는 500억원의 증자에 성공할 지는 미지수다. 만일 제일화재가 경영정상화에 실패한다면 가장 먼저 구조조정될 것으로 관측된다.
과거 동부화재가 비자금 조성사실이 밝혀진 이후 존폐 기로에 서게 됐을 때 임직원들의 뼈를 깎는 노력으로 정상화를 이뤄낸 점을 고려해볼 때 구조조정만이 능사는 아니라는 게 업계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회사를 없애는 것 보다는 그 회사를 정상화시키는 것이 국가경제에 도움이 된다는 것.
제일화재측도 증자 뿐만 아니라 임직원들이 고통에 동참하기로 하는 등 경영정상화를 위해 혼신을 다할 것임을 거듭 밝히고 있다.
그러나 제일화재의 앞날은 여전히 불투명하다. 금감원이 이번 사건과 관련 이동훈 회장 등 7명에 대해 검찰에 수사를 의뢰했는데, 이회장의 10억원 횡령설 등이 끊임없이 나돌고 있어 쉽사리 수그러질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 특히 영업조직의 동요와 계약자 이탈 등 내부변수도 무시할 수 없을 것으로 보인다.
김성희 기자 shfree@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