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일 금감원 관계자는 지난달 30일 증권 및 투신사의 잠정 부실규모가 발표됨에 따라 앞으로 이들 기관이 부실을 처리하는 과정과 해결추이에 대해 지속적인 감독체제를 유지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이 관계자는 금융기관에 대한 금감원의 지나친 간섭을 우려해 “부실을 손실처리했는 지에 관한 사후 확인과 해소 방법등에 한해서만 모니터링이 이루어질 것”이며 “이는 엄밀한 의미에서 모니터링보다 한단계 낮은 수준”이라고 밝혔다.
한편 그는 ‘증권회사별 부실자산 추정’이 ‘증권회사별 수익증권 판매관련 부실자산(추정)’으로 잘못 발표됐음이 부실규모 조사자와 발표자 사이의 혼선에 따른 것이라고 해명했다.
이 때문에 부실내역이 발표된 지난달 30일 증권사들 항의가 잇따랐고 금감원은 뒤늦게 수익증권으로 인한 부실내역과 워크아웃채권등으로 인한 부실자산을 분리해 정정 발표하는 해프닝이 있었다.
문병선 기자 bsmoon@kftime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