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주가등락에 지나치게 예민하게 반응, 증시발전을 위한 근본대책이 아닌 임기응변식의 대응책을 졸속으로 내놓고 있어 시장자율기능 상실이라는 더 큰 부작용으로 이어지지않을까하는 우려의 목소리가 점차 커지고 있다.
27일 종합주가지수는 지난주말보다 무려 45.75P가 떨어진 819.01P로 마감했다.
미국다우지수급락에 따른 동조화에다 위안화 절하문제, 무역수지등 국내거시경제지표 악화, 그리고 때맞춰 불거져 나온 통화관리의 신중성을 요구하는 한국은행의 보고서등 국내외 악재가 겹쳤기 때문이다. 장막판에는 일부개인투자가들의 투매양상까지 나타났다.
거래소시장과는 달리 코스닥은 8.26P가 하락한 255.16P를 기록, 상대적으로 낙폭이 작았다.
특히 코스닥시장은 약세장속에서도 일부재료를 보유한 개별종목들은 강세행진을 이어가는등 체감지수는 오히려 이보다도 작게 느껴진 하루였다.
코스닥시장은 거래소와 달리 전고점돌파에 대한 기대감속에 장중 플러스로 돌아서는등 강세장을 연출하기도 했으나 금감원이 주가조작혐의로 10개사를 조사한다는 언론보도가 흘러나오면서 상승세가 꺾였다.
이와관련 증시전문가들은 당국의 주가조작혐의발표시점에 대해 대체로 우려하는 시각이다. 정부가 코스닥과 거래소시장간 불균형심화를 해소하기 위해 얼마전 거래소활성화대책을 발표했음에도 거래소시장이 맥을 못추자 이번에는 코스닥을 눌러서라도 거래소시장의 낙폭을 줄여보자는 의도로 해석하는 시각이 지배적이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현시점에서 코스닥시장이라도 살아있는 것은 그나마 다행"이라며" 거래소시장 활성화를 위해 코스닥을 죽이는 것은 자칫 증지전체가 붕락하는 계기가 될 수 있다"며 우려했다.
특히 최근들어 증시상황과 관련 정부당국이 지나치게 시장상황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관련 `선거와 증시와의 상관관계를 의식한 조치`라는 평가가 적지 않은데, 시장기능을 도외시한 이같은 지나친 개입으로 시장에 도움이되보다는 증시가 구조적으로 취약해지는 부작용으로 나타날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정부의 임기응변식의 잦은 시장개입은 장기적으로 시장에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우려인 것이다.
이양우 기자 sun@kftime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