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신정평가 평가연구소 최중기 연구원〈사진〉은 최근 자금조달구조의 변화는 금융소비자들의 투자상품 선호현상에 따른 머니 무브 현상의 일환으로 장기적이고 구조적인 변화의 시작에 불과하다고 강조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은행 경영 환경의 변화가 지속되면 은행 내부적으로는 유동성 및 수익성 측면의 부정적인 영향뿐만 아니라 중장기적으로는 운용수익률 제고 압력 상승에 따른 자산건건성 측면의 위험확대가능성 또한 높아진다는 지적이다.
더 나아가 금융업 전체적으로는 조달과 운용간의 마진 획득을 기본적인 영업으로 하는 금융권역의 경영환경 또한 악화될 가능성이 있다는 우려를 나타냈다.
특히 유동성 위험과 관련해 국내 시중은행들은 단기적인 유동성 위험에 대처할 수 있는 자산의 보호 정도와 자금조달 구조상의 안정성이 비교적 낮다는 것이다.
최 연구원은 “은행별로 자금조달 및 운용구조에 내재된 본원적인 유동성 위험의 정도와 자금조달구조변화에 따른 실질적인 유동성 위험의 정도가 차별화된 양상을 보이고 있다”며 “자금조달 및 운용의 구조적인 측면에서 대응 능력 확충이 지속돼야 한다”고 충고했다.
신용평가와 관련해 그는 “은행 자금조달구조의 안정성, 유동성 및 수익성은 은행의 신용위험을 판단하는 일부 요소에 불과하다”며 “최종적인 신용등급 도출에는 다양한 사업적, 재무적인 위험요인과 함께 은행 평가의 특수한 요소인 은행이 금융시스템에서 차지하는 중요성과 위기 시 정부의 개입 가능성을 종합적으로 고려한다”고 설명했다.
관리자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