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의 항공기 제작 전문 업체 ‘에어버스’(Airbus·대표 기욤 포리)는 ‘글로벌 시장전망 2023-2042’ 자료를 통해 기존 항공기 교체 및 신규 주문이 2042년까지 4만대를 넘어설 것이라 발표했다.
특히 중국과 인도 등에서 국내선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해 단일통로(Single-aisle) 항공기 주문량이 크게 불어날 것으로 분석했다.
현재 항공 여객 수요는 코로나19 이전 수준으로 빠르게 회복되는 추세다. 전 세계 장거리 국제노선 수요는 팬데믹(Pandemic·전 세계적 감염병 대유행) 이전인 2019년의 90%까지 증가한 상태다.
또한 전 세계 항공사들의 친환경 정책에 따라 높은 연료 효율을 가지며 탄소 배출량이 적은 신형 항공기 수요가 지속해서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항공산업 회복 및 확대 전망에 우리자산운용의 ‘WOORI 미국S&P우주항공&디펜스’ ETF 관심도 커지고 있다.
해당 ETF는 기초지수로 ‘S&P Aerospace&Defense Select Industry Index’를 추종한다. 국내 최초로 미국에 상장된 우주항공·방위산업 관련 종목에 투자하는 상품이다.
ETF 내 주요 구성 종목으론 항공기 제조업체 ‘보잉’(Boeing‧대표 데이비드 L. 칼훈)과 레이시온 테크놀로지(Raytheon Technologies Corporation·대표 헤이즈), 항공기 부품 생산업체 ‘트랜스다임 그룹’(TDG·대표 케빈 M. 스테인) 등이 있다.
조래섭 우리자산운용 ETF·퀀트(Quant·컴퓨터 알고리즘 기반 투자) 운용실 실장은 “항공기 공급망이 회복되고, 여객 수요가 맞물리면서 항공산업 관련 기업 주가 흐름에도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한다”며 “항공기 부품 및 애프터마켓(Aftermarket·부품 시장) 관련 기업들은 높은 가격 결정력을 가지고 있어 향후 수익성이 더욱 강화될 것”이라 설명했다.
임지윤 기자 dlawldbs20@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