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주열 "미국 금리 상승이 국내 금리에 상당히 영향 줬다...수급 여건에도 영향 받지만 미국 영향 크게 받아"
2021-02-25 목요일 | 장태민
-
이주열 "미국 장기금리가 상당히 중요한 팩트..신정부 적극 재정부양으로 경기, 인플레 상승 기대 작용"
2021-02-25 목요일 | 장태민
-
이주열 "장단기 금리차 확대는 사실상 우리나라만의 현상 아니다..주요국 공통현상"
2021-02-25 목요일 | 장태민
-
이주열 "국고채 금리, 한국은행도 예의주시하고 있다"
2021-02-25 목요일 | 장태민
-
이주열 "통화정책은 안정세 전망될 때까지 완화기조 유지"
2021-02-25 목요일 | 장태민
-
이주열 "현재로선 금리인상 등 본격적 정상화 언급할 상황 아니다"
2021-02-25 목요일 | 장태민
-
이주열 "자산가격, 가계부채 등 금융안정 우려도 인플레 우려 못지 않게 우려 높은 게 사실..현 상황은 코로나 불확실성 높아"
2021-02-25 목요일 | 장태민
-
이주열 "백신접종되고 경제정상화되고, 경기회복세 빨라지면 인플레 리스크 관심 커질 수 있어"
2021-02-25 목요일 | 장태민
-
이주열 "현재 유동성 함정 우려하는 상황 아니지 않나 한다"
2021-02-25 목요일 | 장태민
-
이주열 "저물가엔 온라인 활성화 등 구조적 요인도 있다...앞으로는 완만하지만 물가상승률 점차 높아질 것"
2021-02-25 목요일 | 장태민
-
이주열 "경기회복세, 생각보다 빨라지지 않는 것은 유동성 함정보다 코로나19 따른 충격 영향"
2021-02-25 목요일 | 장태민
-
이주열 "물가, 식료품, 유가 상승세 등 반영해 전망치 높여..내년 물가상승률 전망 낮아진 것은 기저효과"
2021-02-25 목요일 | 장태민
-
이주열 "경기회복강도, 결국 앞으로 소비가 어떻게 되는가에 달려있다고 본다"
2021-02-25 목요일 | 장태민
-
이주열 "소비는 우리가 봤던 것 보다 더 부진..변이바이러스가 어느정도 영향줄지 예단 어려워"
2021-02-25 목요일 | 장태민
-
이주열 "추경이 확정되면 그 부분은 성장률 전망치 높이는 요인"
2021-02-25 목요일 | 장태민
-
이주열 "성장률 전망에 추경은 반영 못해"
2021-02-25 목요일 | 장태민
-
이주열 "성장률 전망시 백신접종은 방역당국 계획(전망)치 수용"
2021-02-25 목요일 | 장태민
-
이주열 "연준 AIT가 성공적으로 정착할지도 더 봐야 한다"
2021-02-25 목요일 | 장태민
-
이주열 "현재 물가목표제 대안에 대한 공감대 세계적으로 형성돼 있지 않다"
2021-02-25 목요일 | 장태민
-
이주열 "주요국 중앙은행 통화정책체계 검토..우리도 검토해왔고 꾸준히 검토 이어갈 것"
2021-02-25 목요일 | 장태민
-
이주열 "1%대 물가상승률 인플레 우려할 수준 아니지만, 국내서도 수요측면 물가상승 나타날 가능성 살펴볼 것"
2021-02-25 목요일 | 장태민
-
이주열 "물가전망 높인 것은 기본적으로는 유가도 있지만, 완만한 회복세 반영한 것"
2021-02-25 목요일 | 장태민
-
이주열 "파월의 좋은 인플레 발언은 소비회복과 함께 나타나는 인플레로 이해"
2021-02-25 목요일 | 장태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