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한강변 아파트 전경. 사진 = 한국금융신문 DB
작년 9월까지만 해도 0.31%대를 넘나들던 전국 집값 상승폭은 12월 들어 0.05%까지 떨어졌고, 서울과 수도권에서도 하락거래가 나타나는 등 최근 2년의 급등장과는 확연히 다른 모습들이 연출됐다.
이처럼 집값이 숨고르기 국면에 접어들면서, 집값 불장을 따라 덩달아 불타오르던 증여·경매시장도 함께 주춤하기 시작했다.
부동산 플랫폼 직방에 따르면, 지난해 하반기 전국 부동산 수증인은 총 14만3954명으로 2014년 상반기 13만7240명 이후 가장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난 2020년 하반기 23만3114명에 비해 38.2%, 2021년 상반기 20만5793명에 비해 30%나 줄어든 수치다. 2010년 통계 집계 이후 반기 평균인 15만1374명보다도 적은 수증인을 기록하면서 부동산 증여 추세는 잠잠해지는 모습이었다.
이는 부동산 증여를 계획하고 있던 보유자들이 일정부분 증여를 마무리하는 단계에 진입한 것으로 풀이됐다. 함영진 직방 빅데이터랩장은 “2022년 대선에서 부동산 규제에 대한 정책공약이 발표되고 있는 만큼 절세 등의 목적으로 증여가 다시 증가하지는 않을 것”으로 예상했다.
경매시장 역시 얼어붙었다. 법원경매 전문기업 지지옥션이 발표한 ‘2021년 12월 경매동향보고서’에 따르면 전국 아파트 경매 진행건수는 1245건으로 이 중 531건이 낙찰됐다.
지난해 1월부터 11월까지 월간 50%대를 유지하던 전국 아파트 낙찰률은 전월(52.9%) 보다 10.2%p 하락하면서 연중 최저치인 42.7%를 기록했다.
낙찰가율도 전월(104.2%)에 비해 3.6%p 낮은 100.6%를 기록했고, 평균 응찰자 수도 5.1명으로 연중 가장 낮은 수치를 보였다. 지속적인 금리인상 이슈와 높아진 대출문턱 탓에 매수세가 급격히 감소한 것으로 해석됐다.
홍남기닫기

그는 지난 19일 서울정부청사에서 열린 부동산시장 관계장관회의에서 “지난해 12월 월간 아파트 실거래가 동향(아파트, 잠정)을 보면 강남 4구가 2개월 연속 하락하며 하락 폭도 11월 -0.05%에서 12월 -0.86%로 확대됐다”며 “서울 -0.48%, 수도권 -1.09%, 전국 -0.91% 모두 하락세를 시현했다”고 발언했다.
특히 매물이 쌓인 세종과 대구 등 지방에서는 작년 하반기부터 완연한 하락세가 나타나는 등, ‘외곽부터 거품이 빠질 것’이라던 하락론자들의 주장에 설득력이 실리고 있다.
정부가 이처럼 집값이 본격적인 하향 안정화 국면에 접어들었다고 평가하는 한편, 시장의 의견은 갈리고 있다. 대선 전 관망세가 나타나고 있을 뿐, 집값이 대세하락하지는 않고 여전히 우상향을 이어갈 것이라는 관측이다.
이은형닫기

임병철 부동산R114 수석연구원 역시 “주택 공급 감소 우려가 여전하고 단기간 내 주택 공급도 현실적으로 쉽지 않은 것이 사실”이라며, “올해는 대통령 선거와 지방 선거 등 굵직한 정치 이벤트가 진행되고 여권 후보의 경우 세금 등 정책 전환도 예상되고 있어 시장에는 기대감을 키우는 요인이 될 수 있어 하락 전환되더라도 그 기간이 길지 않을 수 있다”고 내다봤다.
장호성 기자 hs6776@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