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기업과 공동으로 금융지원을 한다는 골자로 통상의 중소기업대출보다 금리는 60~150bp까지 낮췄지만 기업당 지원금액은 최대 100억원으로 대폭늘렸고 무담보 신용지원이 특징이다. 정책적인 목적이 분명 깔려있지만 “손해는 보지 않는다”고 산은은 자신했다.
어떻게 이런 펀드가 나올 수 있을까? “구조화금융기법을 활용해서”라는 게 산은측의 설명이다.
◆ 금융기관이 주도한 첫 중기지원사업
중소기업지원을 위해 대기업이 참여하는 금융지원방식은 산은이 처음은 아니다. 과거 몇몇 대기업이 기술신보에 기금 65억원을 출연하고 중소기업에 보증을 제공했다. 중소기업진흥공단이나 금융기관들이 지원을 받은 중기가 발행한 BW를 인수해 유통화시키는 방법으로 운영됐다. 하지만 대기업이 직접대출하는 방식인데다 업체당 한도도 10억원에 불과해 효용성이 크게 떨어졌다. 이마저도 대기업의 참여가 소극적이었고, 최고 10%가 넘는 금리, 불특정 중소기업에 대한 단순 자금지원 등의 이유로 활성화되지 못해 아쉬움을 남겼다. 하지만 산은은 이번 지원펀드는 한단계 ‘진화’한 것이라고 설명한다.
우선 금융지원방안 설계, 투자자 모집, 자금출자 및 신용공여 등 금융지원의 모든 과정을 산업은행이 직접 주도하는 최초의 모델이라는 것이다.
실제 산은은 업계최초로 구조화금융을 활용해 펀드를 만들었다. 일단 중소기업이 회사채를 발행하면 이를 산은이 인수, 대금을 지급한다. 이 채권을 다시 증권사에 매각하고, 증권사는 이를 다시 산은자산운용에 매각하면 프라이머리CBO나 수익증권으로 산은캐피탈 및 기관투자가들이 인수하는 방식이다.
김현찬 이사는 “산업은행이 결국 70% 가량을 책임지는 것으로 설령 지원받은 중소기업이 파산해도 대우조선해양이 피해를 보는 일은 거의 없다”고 말했다.
이런 과정을 거쳐 저 비용의 재원을 조달할 수 있고 업체당 최고 100억원까지, 3년만기 연 5~6%대 저금리, 무담보로 신용을 제공하는 게 가능해졌다.
◆ 타 금융기관들 확산 “쉽지않을 듯”
산업은행은 이 같은 방식이 다른 은행으로까지 확산됐으면 하는 바램이다. 하지만 현실적으로는 쉽지 않다.
정책적 목적이 커 수익에는 보탬이 되지 않기 때문이다. 설령 공공성을 갖고 있는 은행이 공공성을 목적으로 나서면 모를까 어려운 일이다.
김영찬 이사도 “쉽지는 않겠지만 시중은행으로까지 확산됐으면 한다”면서도 “쉽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산은은 현재 국내 굴지의 기업들과 논의를 진행하고 있으며, IT 및 기계 등 다양한 업종으로까지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관리자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