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일 농협은 최근 BPR 프로젝트에 대해 신용사업 부문을 먼저 진행하는 방향으로 결정, 세부적인 안을 마련키 위해 관련 업무를 다시 기획조정실에서 금융기획실로 이관시켰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이르면 4월중에 구체적인 프로젝트 방안이 나올 것으로 예상된다.
농협은 내달 중으로 구체적인 안을 수립하게 되면 오는 2분기 중으로 BPR 관련 컨설팅 RFP(제안요청서)를 관련업체에 발송할 예정이다. 사업자 선정이 이뤄지면 컨설팅을 6개월 정도 수행한 후 시스템 구축에 나서게 된다.
현재 농협의 영업점은 중앙회 900여개와 단위조합 4100여개로 총 5000여개에 이르고 있다. 그러나 단위조합까지 BPR을 진행하기 위해서는 단위조합과의 협의가 선행돼야 하기 때문에 BPR 적용범위는 좀 더 지켜봐야 하는 상황이다.
향후 단위조합까지 BPR이 모두 적용될 경우 1000억원대를 크게 상회하는 규모가 형성될 것으로 관련업계는 보고 있다.
농협은 당초 지난해 하반기에 신용사업 부문에 대한 BPR 컨설팅을 진행할 계획이었으나 경제사업 부문까지 확대하는 방안이 논의돼 BPR 컨설팅 계획이 중단된 바 있다.
농협 한 관계자는 “경제사업 부문은 신용사업 부문에 적용한 BPR이 어느 정도 효과가 있다고 검증된 후 추가 확대하는 방안으로 진행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신한·조흥은행도 BPR 적용을 위한 컨설팅을 진행중에 있고 한국씨티은행도 검토중에 있어 올해 BPR 관련 시장이 뜨거울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이에 따라 관련 SI(시스템통합) 업체와 솔루션 업체들이 치열한 경쟁을 펼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향후 진행될 사업자 선정에 어떤 방식으로 컨소시엄이 구성될지에 대해서도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신혜권 기자 hkshin@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