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시대, 어디까지 왔나 (2) 5대 은행] AI 기술 고도화로 비대면 영업 승부수
최근 많은 기업이 인공지능(AI)을 금융 분야에 응용하기 위해 다양한 시도를 하고 있다. AI로 데이터를 분석·관리하고 고객을 응대하며, 맞춤형 자산 관리 서비스까지 실시한다. AI 시대가 도래한 것이다. 금융업의...
2021-09-13 월요일 | 임지윤 기자
-
[AI시대, 어디까지 왔나 (2) KB국민카드] 이동철 사장, ‘디지털 고도화’ 전략으로 승부수
카드업계가 인공지능과 빅데이터 활용 범위를 넓혀가고 있다. 미래 금융에 대비하고 방대한 고객 정보와 가맹점 데이터를 AI와 접목해 소비자 중심 서비스 강화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본 기획기사에서는 4차 산업혁...
2021-09-13 월요일 | 신혜주 기자
-
[지.금 머니] “CU에서 하나은행 업무를?”
여러분 안녕하세요~! <한국금융신문> 금융부 ‘열정맨’ 임지윤 기자입니다. 만나 뵙게 돼 반갑습니다!저는 수습기자 딱지를 막 뗀 신입기자랍니다. 아직 금융에 관해 잘 모르는 ‘금린이(금융+어린이)’에요....
2021-09-12 일요일 | 임지윤 기자
-
5대 금융 회장 만난 고승범 “금리·배당 자율 최대한 존중”
고승범 금융위원장이 금리와 수수료, 배당 등 금융권의 경영판단사항에 대해서는 금융회사의 자율적 결정을 최대한 존중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개입이 불가피한 경우에도 업계와 소통과 협의를 거치겠다며 시장친화...
2021-09-10 금요일 | 한아란 기자
-
손태승 숙원 사업 속도 붙나…금융시장 판도 ‘촉각’
우리금융지주가 이르면 연내 완전 민영화되는 가운데 과감한 인수합병(M&A) 등 사업 다각화에 속도가 붙을 전망이다. 비은행 분야 강화는 손태승 우리금융 회장의 숙원 사업이다. 우리금융이 증권사와 보험사 인수 등...
2021-09-10 금요일 | 한아란 기자
-
고승범, 오늘 5대 금융지주 회장과 회동…가계부채·코로나 금융지원 논의
고승범 금융위원장이 취임 이후 5대 금융지주 회장과 첫 회동을 한다. 고 위원장은 이 자리에서 가계부채 관리대책을 중점 논의할 것으로 보인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대출 만기연장·이자상환 유...
2021-09-10 금요일 | 한아란 기자
-
재무설계 자격자수 KB금융 가장 많아…금소법 시행 이후 관심도 증가
금융소비자보호법의 시행으로 금융기관 임직원의 전문성과 윤리성이 강조되고 있는 가운데 5대 금융지주에서 가장 많은 CFP(국제재무설계사) 및 AFPK(재무설계사) 자격증을 보유한 곳은 KB금융지주인 것으로 나타났다...
2021-09-08 수요일 | 김경찬 기자
-
고승범, 10일 금융지주 회장들과 회동…가계부채 논의할 듯
고승범 금융위원장이 오는 10일 5대 금융지주 회장과 상견례를 갖는다. 가계부채 관리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대출 만기연장·이자상환 유예 조치 재연장, 대환대출 플랫폼 등 주요 현안에 대한 논...
2021-09-06 월요일 | 한아란 기자
-
KB금융 “소비자, 친환경 제품 비싸도 구매”
많은 소비자가 비싸더라도 친환경 제품을 구매하려는 것으로 나타났다.KB금융이 5일 발간한 ‘KB 트렌드 보고서: 소비자가 본 ESG와 친환경 소비 행동’에 따르면 소비자 중 30%가량은 ‘제품 구매 시 기업의 친환경...
2021-09-06 월요일 | 임지윤 기자
-
[금융권 디지털 생활금융 (1) KB국민은행] 허인 행장, 생활플랫폼 전면전환 승부수
생활금융은 은행들에게 선택이 아닌 필수 전략으로 자리 잡았다. 빅테크·핀테크 업체의 금융업 진출이 가속화하면서 각 은행이 금융플랫폼 기업으로의 전환을 꾀하고 있기 때문이다. 은행권은 기존 은행 업무뿐 아니...
2021-09-06 월요일 | 한아란 기자
-
[금융권 디지털 생활금융 (1) KB손해보험] 김기환 대표, 미래 먹거리 헬스케어 산업 육성 잰걸음
금융당국에서 ‘보험업권 헬스케어 활성화’ 정책을 추진하면서 보험사도 헬스케어 서비스를 중심으로 한 생활금융 서비스에 시동을 걸고 있다. 금융위원회는 지난 7월 보험사가 관련 플랫폼 서비스를 자회사 또는 부...
2021-09-06 월요일 | 전하경 기자
-
[고객 위한 앱 리디자인] 모바일뱅킹은 진화 중…은행, 개인 맞춤화·단순화 만전
은행들이 모바일뱅킹 애플리케이션(앱) 사용자경험·사용자환경(UX·UI) 강화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직관적이고 간편한 앱을 만들어 이용 편의성과 접근성을 높이기 위한 노력이다. 1일 금융권에 따르면 주요...
2021-09-01 수요일 | 한아란 기자
-
손태승 우리금융 회장 ‘DLF’ 소송 승소…법적 리스크 해소
손태승 우리금융지주 회장이 해외금리 연계 파생결합펀드(DLF) 사태 관련 금융감독원 중징계에 불복해 제기한 징계취소 행정소송 1심에서 승소하면서 법적 리스크를 해소했다. 29일 금융권에 따르면 서울행정법원...
2021-08-30 월요일 | 한아란 기자
-
한은 기준금리 인상에 은행·보험 등 금융주 ‘강세’(종합)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상 소식에 26일 은행과 보험 등 금융주가 상승세를 기록했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이날 금융업종 대장주인 카카오뱅크는 전 거래일보다 1.58%(1300원) 오른 8만3400원에 거래를 마쳤다. ...
2021-08-26 목요일 | 홍승빈 기자
-
상반기 금융지주 회장 연봉킹은…은행권에선 카뱅 CTO
김정태 하나금융지주 회장이 올해 상반기 금융지주와 은행 최고경영자(CEO) 가운데 가장 많은 연봉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카카오뱅크 주요 임원들은 주식매수선택권(스톡옵션)을 행사한 이익 덕에 연봉 상위권에 ...
2021-08-18 수요일 | 한아란 기자
-
코로나에 금감원 종합검사도 ‘스톱’…일부 일정 내년으로 넘어가나
코로나19 4차 대유행으로 현장검사가 어려워지면서 금융감독원의 종합검사 일정 모두 중단됐다. 코로나19 4차 대유행으로 사회적 거리두기가 4단계로 격상된 가운데 장기화되면서 종합검사 전반적인 일정 조정이 필요...
2021-08-18 수요일 | 김경찬 기자
-
KB와 MZ 사이 연결고리 ‘e스포츠’
최근 시중은행들이 e스포츠(컴퓨터 및 네트워크, 기타 영상 장비 등을 이용해 승부를 겨루는 스포츠)계의 든든한 후원자로 나서며 앞다퉈 MZ세대(1980년~2000년대 출생)에게 뜨거운 구애를 펼치고 있다.어릴 때부터 ...
2021-08-18 수요일 | 임지윤 기자
-
KB저축은행, 최대 연 5% 고금리 ‘플러스kiwi적금’ 재출시
KB저축은행이 KB금융그룹의 통합 멤버십 플랫폼 '리브메이트'와 연계한 상품인 '플러스kiwi적금'을 재출시했다. KB저축은행은 오늘부터 지난해 첫 출시 후 17일만에 1만 계좌를 돌파한 ‘플러스kiwi적금’을 다시 선...
2021-08-17 화요일 | 신혜주 기자
-
신한금융, 출범 후 첫 분기배당…주당 300원
신한금융지주가 2001년 출범 이후 첫 분기배당을 실시한다. 신한금융은 13일 이사회를 열고 주당 300원의 분기 현금배당을 결정했다. 주당 배당금은 보통주와 전환우선주 모두 주당 300원이다. 배당금 총액은...
2021-08-14 토요일 | 한아란 기자
-
[펫팸족 사로잡는 금융상품] 반려동물 키우면 우대금리·캐시백…양육비 모으는 적금도
일명 ‘펫금융’으로 불리는 반려동물 관련 금융시장에 대한 금융사들의 관심이 이어지고 있다. 최근 빠르게 늘고 있는 펫펨족(Pet과 Family의 합성어·반려동물을 가족처럼 생각하는 사람들)을 잡기 위해서다. 수년...
2021-08-11 수요일 | 한아란 기자
-
카뱅, 상장 이틀째 코스피 시총 9위 안착...카카오도 덩달아 ‘상승’
카카오뱅크가 상장 이틀 만에 기아와 셀트리온을 제치고 코스피 시가총액 9위로 올라섰다. 시총은 37조원을 돌파했다. 9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카카오뱅크는 전 거래일 대비 12.46%(8700원) 오른 7만8500원에 ...
2021-08-09 월요일 | 홍승빈 기자
-
[특징주] 카카오뱅크, 상장 이틀째도 급등…시총 톱10 진입
상장 이틀째인 카카오뱅크 주가가 강세를 기록하고 있다. 코스피 시가총액 톱 10에 진입했다.9일 오전 9시39분 현재 유가증권시장(코스피)에서 카카오뱅크는 전 거래일보다 15.62% 오른 8만700원에 거래되고 있다. 상...
2021-08-09 월요일 | 정선은 기자
-
‘고액자산가 모십니다’…증권사 ‘패밀리오피스’ 공들여
증권업계가 ‘슈퍼리치’ 고액자산가를 대상으로 한 ‘패밀리오피스’ 서비스에 공을 들이고 있다. ‘큰 손’ 가문을 대상으로 한 종합 자산관리로, 승계 이후 자녀 자산관리까지 맡을 수 있다는 점에서 증권사들이 ...
2021-08-09 월요일 | 정선은 기자